한국장애인노동조합총연맹이 기초생활수급장애인들의 기초생활보장법 개정을 촉구하는 전동휠체어 국토종단 행진에 나섰다. 7일 오전 10시 부산시청앞에서 출발한 전동휠체어 국토종단은 19일 오후 1시경 서울 국회의사당앞에 도착하게 된다. 이번 전동휠체어 국토종단에는 전동휠체어장애인 6명, 의무요원 및 보조인 6명, 리프트차량 2대, 1톤 봉고트럭 1대, 버스(휠체어리프트) 1대, 전동휠체어 수리차량 1대 등 총 17명이 참가해 행진에 나섰다. 이날 국토종단에 참가한 전동휠체어 국토종단 참가인들은 "장애인의 생활은 장애로 인해 의료, 이동, 생활복지 등의 추가 비용이 자주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런 현실에서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라도 근로활동을 통한 경제적 자립으로 사회참여와 자아실현을 이루고 싶다는 것은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인권이며 권리다"라고 주장했다. 또, 이들은 "2022년 통계에 따르면 52만 7,000명 기초생활수급 장애인 중 근로활동 장애인은 고작 19%에 불과하다"며, "대다수 장애인들은 빈약한 기초생활수급비의 노예가 되어 힘든 삶을 근근히 이어가는 게 현실이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가운데 "
한국장애인노동조합총연맹이 기초생활수급장애인들의 기초생활보장법 개정을 촉구하는 전동휠체어 국토종단 행진에 나선다. 오는 7일 오전 10시 부산시청앞에서 출발하는 전동휠체어 국토종단은 19일 오후 1시경 서울 국회의사당앞에 도착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전동휠체어 국토종단에는 전동휠체어장애인 6명, 의무요원 및 보조인 6명, 리프트차량 2대, 1톤 봉고트럭 1대, 버스(휠체어리프트) 1대, 전동휠체어 수리차량 1대 등 총 17명이 참가하게 된다. 이번 국토종단에 참가하는 전동휠체어 국토종단 참가인들은 "장애인의 생활은 장애로 인해 의료, 이동, 생활복지 등의 추가 비용이 자주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런 현실에서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라도 근로활동을 통한 경제적 자립으로 사회참여와 자아실현을 이루고 싶다는 것은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인권이며 권리다"라고 주장했다. 그렇지만 "2022년도 파악한 52만 7,000명 기초생활수급 장애인 중 근로활동 장애인은 고작 19%에 불과해 대다수 장애인들은 빈약한 기초생활수급비의 노예가 되어 힘든 삶을 이어가는 게 현실이다"고 전했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가 2022년 장애인 의무고용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