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내년도 예산편성을 위해 주민참여예산에 반영할 사업을 3월 31일까지 접수한다고 밝혔다. 주민참여예산은 지역주민들이 직접 사업을 제안하고 예산편성에 참여하는 제도로 참여 민주주의의 대표적인 실천 수단이며, 시는 2023년 주민참여예산 규모를 올해보다 40억 원 증액한 170억 원으로 확대했다. 시민들이 제안 가능한 사업은 시민의 편익을 높이고 지역 공동체 삶의 질을 향상 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단년도 사업으로, ▲시정참여형 ▲지역참여형 ▲시정협치형 ▲지역협치형으로 나뉜다. 특히, 올해는 민관 숙의와 공론 강화를 통한 협치 시정 활성화를 위해 ‘지역협치형’이 처음 신설되어 구·군별 민관이 협력하여 지역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했다. 시는 다음 달 31일까지 ‘시정참여형’과 ‘지역참여형’에 대한 시민 공모를 진행하고, ‘시정협치형’과 ‘지역협치형’은 2월 중 공모를 별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3월까지 접수한 제안사업에 대해 타당성‧부적정 등 검토,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검토·심의, 우선순위 시민설문 등을 거쳐 내년도 예산에
창원시(시장 허성무)는 다음달 6일까지 내년도 주민참여예산사업 선정을 위한 온라인 투표와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에 대한 시민 의견수렴 설문조사를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주민참여예산은 주민이 지역에 필요한 사업을 제안하고 심사, 선정에 직접 참여하는 제도로, 온라인 투표는 주민이 제안한 사업을 많은 시민과 공유하고 직접 선택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올해 주민참여예산사업 공모에는 360건이 제안되어 사업부서의 타당성 검토와 주민참여예산기구의 심사를 완료했으며, 시 참여형 주민 제안 15개 사업을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를 진행해 다음 달 개최 예정인 주민참여예산 총회에서 최종 사업순위를 결정하게 된다. 시는 주민참여예산으로 우선 추진해야 할 사업분야 등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에 대한 시민 의견수렴 설문조사도 병행한다. 설문 결과는 주민참여예산제의 효율적 운영과 향후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번 온라인 투표와 설문조사는 시 홈페이지를 통해 창원시민 누구나 손쉽게 참여할 수 있다. 서정국 자치행정국장은 “우리 지역에 필요한 사업을 직접 선정하는 온라인 투표와 설문조사에 많은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길 바란다”며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