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후 수산물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이 높아지자 부산시는 지난 6월부터 방사능 검사·분석 장비 7대를 점진적으로 확충하여 총 21대의 장비를 운영할 예정이다. 부산시는 방사능 오염에 대한 전문적인 검사를 위해 고정형·선박탑재형 무인감시망 각 1대와 일본 활어차 내 해수 방사능 검사 등을 위한 이동형 방사능 신속분석장비 2대를 추가 구축했다. 추가 구축한 고정형 해수 방사능 신속무인감시망은 지난해 10월 가덕도 천성항방파제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결과는 안전하다. 지난 2022년까지 구축된 6곳에 이어 이번 추가 구축으로 총 7곳에서 고정형 무인감시망이 운영되고 있다. 선박탑재형 해수 방사능 신속무인감시망은 지난 12월부터 시 어업지도선에 1대가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다. 특히 이 감시망은 전국 최초로 고분해능 섬광검출기가 사용돼 더욱 정밀하고 신속한 방사능 검사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고정형·선박탑재형 방사능 무인감시망, 보건환경연구원 해수 정밀 분석과 함께 부산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3중 감시체계로 해수에 대한 조기경보체계를 구축했다. 아울러 수산물 안전성 검사 강화를 위해서 알파&m
부산시는 오늘(22일)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의 17개 시·도지사가 공동건의문을 채택하고, 현재 일본 정부에서 추진 중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논의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였다고 밝혔다. 시는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를 저지하기 위해 울산, 경남, 전남, 제주 등 한일해협에 접해있는 시·도와 실무 대책협의체를 구성하고, 지난달 12일, 1차 실무협의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어 공동건의문을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에 안건으로 제출했다. 이번 건의문은 최근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이 임박해짐에 따라 국민의 생명권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대한민국 시도지사들의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채택된 것이다. 공동건의문의 주요 내용은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관련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논의를 즉각 중단하고, 관련 정보를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것과 ▲국제기구를 포함한 관련 국가의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안전성 검증체계를 구성·운영할 것 ▲수산물을 포함한 모든 일본산 식품의 수입에 있어 방사능 검역을 더욱 강화할 것 등이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방사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