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청년이 살고 싶은 부산을 만들기 위해 2022년도 청년정책 예산을 1819억 원을 편성하고, 청년들의 다양한 수요에 맞춤형 정책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시는 ‘청년이 살고 싶은 청년희망도시 부산’을 목표로 ▲일자리 분야 629억 원(34.5%) ▲주거 분야 613억 원(33.7%) ▲교육 분야 246억 원(13.5%) ▲복지·문화 분야 293억 원(16.1%), ▲참여·권리 분야 38억 원(2.1%), 5대 분야 총 116개 사업에 1819억 원을 투입한다. 시는 코로나19 장기화 등으로 힘든 경제 상황 속에서도 미래 세대 주역인 청년이 지역에서 일하며 마음껏 도전할 수 있도록 하고자 올해 청년정책 사업예산 825억 원보다 약 2배(증가액 994억 원) 이상 대폭 증액 편성했다. 이에, 청년 일자리 창출에서 주거지원과 자산형성 등 총 26개 사업(267억 원)을 새롭게 추진한다. 먼저, 일자리 분야를 살펴보면 총 27개 사업에 629억 원을 투입한다. 행정안전부 주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공모를 통해 국비 231억 원 등 역대 최대 규모인 총사업비 482억 원을 확보해
부산 금정구(구청장 정미영)는 대한적십자봉사회 금정구지구협의회(회장 박연옥)와 함께 지난 26일부터 ‘2021년 고독사 예방 마음돌봄 키트 지원’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고독사 예방 마음돌봄 키트 지원’은 가정에서 쉽게 기를 수 있는 콩나물 재배 키트와 스트레스 해소용 스티커 책자를 관내 독거 어르신 등 취약계층 50가구에 배부하는 사업이다. 금정구 적십자봉사회가 제안한 사업이 ‘금정구 사회단체 공익활동 지원 공모사업’에 선정돼 추진하게 됐다. 각 가구와 1:1로 연결된 적십자 봉사원은 매달 한 번 방문해 안부를 확인하며 마음을 나눈다. 구는 이를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와 이웃 간 교류 부족으로 인한 우울감을 해소하도록 돕고, 고독사 예방 등 복지 안전망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날 마음돌봄 키트 배부에 함께 나선 정미영 금정구청장은 “조금만 눈길을 돌려도 온정을 나눌 이웃이 많다”며 “복지 안전망을 더 촘촘하게 만들 수 있는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민관이 힘을 합쳐 어려운 이웃에 희망과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밝혔다.
영도구 신선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민간위원장 박남전)는 관내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 5명에게 2021년 희망의 디딤돌 장학금을 지원했다. 이번 장학금 전달은 2021년 신선동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사업의 일환으로 아동·청소년 분야 사업으로 추진됐다. 신선동 발전위원회(회장 이해석), 영도구종합사회복지관(관장 선병권)의 후원금을 활용해 관내 4개 중·고등학교장 추천을 받아 학업이 우수하고 품행이 바른 중·고등학생에게 학년별 30만원 또는 50만원을 지급하였다. 장학금을 전달받은 학생의 학부모는 “우리 아이를 위해 이렇게 소중한 장학금을 주셔서 감사드린다.”며 “아이를 위한 교육비로 잘 사용 하겠다”고 밝혔다.
부산 북구 화명2동 행정복지센터(동장 김가은)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위원장 손열)가 고독사 위험가구 등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한 온(溫)마음 온(on)마을 지원 사업을 본격 실시한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복지누리마을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온(溫)마음 온(on)마을 지원 사업은 실내외 정서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의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나눔 실천으로 지역 돌봄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추진하는 사업이다. 4월 15일에는 관내 독거어르신 10명을 모시고 꽃과 캘리그라피를 활용한 미술치유 클래스를 진행하였으며 완성된 작품은 주민센터에 전시해 주민들과 공유할 예정이다. 김가은 동장은 “코로나로 인한 사회활동 감소로 사회적 고립감과 우울감이 높아진 어르신들이 미술로 마음을 치유하는 시간이 되셨길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