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전체 인구의 16.5%로, 향후에도 계속 증가해 2025년에는 20.3%에 이르러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 영도구의 경우, 9월말 기준으로 노인인구의 비율이 28.4%로 2015년부터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했다. 또한, 구는 IMF 외환위기 시기인 1997년과 조선업이 불황에 직면한 2017년 쯤부터 급격한 감소를 거치며 지속적인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영도구청장을 만나 영도구의 인구 정책과 영도 활성화 방안에 대해 복안을 들어봤다. 영도구의 인구의 하락세가 심상치 않다. 그 원인과 지역 활력 모색 방안은? 영도구는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기존 전통산업이 쇠퇴하면서 일자리에 따른 인구 유출과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인해 감소하게 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구는 올해 초부터 부경대학교와 '영도구 인구활력화 방안 연구용역'을 진행했다. '활기찬 젊음'과 '안락한 노후보장'이라는 목표 하에 청년 아동 올리기, 문화관광으로 인구 모으기, 장기 거주민에 대한 인구 가두기라는 인구삼합 전략으로 추진과제 등을 정리하고
부산 금정구(구청장 정미영)가 ‘법정 문화도시’ 지정을 본격 추진한다. 부산시 최초로 문화재단을 설립하는 등 그간 다져온 문화적 기반을 바탕으로 지역 고유의 문화적 자산을 활용해 특색있는 문화도시로 나아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구는 지난 29일 구청 간부 직원을 대상으로 ‘문화도시 전문가 초빙 강연’을 열고 문화도시 지정 추진 방안을 모색하고 추진 의지를 다졌다. 강연은 포항문화재단 대표이사를 역임하며 경북 포항을 법정 문화도시로 이끈 차재근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문화협력위원장이 맡았다. 구는 이날 ‘문명, 도시, 재생, 문화도시’를 주제로 진행된 강연을 계기로 지역 고유의 문화적 자산을 활용해 모든 구민의 문화적 삶을 확산하고 지역사회 발전을 이끌기 위한 문화도시 지정 추진을 공식화했다. 문화도시는 지역 스스로 도시의 문화를 만들어 갈 수 있는 지자체에 5년간 200억 원(국비 50%·지방비 50%)이 지원되는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사업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기존의 중앙하달식 관주도 방식이 아닌 예술가, 전문가 등 일반 시민이 주도해 지속할 수 있는 도시문화 체계를 형성할 것으로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