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는 시청 소회의실에서 민홍철(김해갑), 김정호(김해을) 국회의원이 참석한 가운데 주요 지역 현안을 논의하고 내년 국비 확보를 위한 당정협의회를 개최했다 15일 밝혔다. 5월 말까지 중앙부처의 예산요구서가 기획재정부로 제출되는 만큼 지역 국회의원과 긴밀한 공조로 내년도 시의 주요 국비사업과 지역 현안사업들이 정부예산(안)에 빠짐없이 포함되도록 자리를 마련한 것이다. 내년도 김해시 국비 신청 주요 사업 규모는 총 127건 5,241억원이며 이날 논의된 국비신청사업은 23개 사업, 국비신청액 기준 총 2,705억원으로 ▲디지털트윈 기반 미래자동차 주행성능검증 기반 구축 ▲비대면 의생명·의료기기산업 육성기반 구축 ▲전자약, 디지털 치료제 기술 실용화 플랫폼 기반 구축 ▲화포천 습지보호지역 훼손지 복원 및 보전이용시설 설치사업 ▲김해시 자원순환시설 현대화사업 ▲이동·매리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 ▲국지도60호선(한림~생림), 국지도69호선(대동~매리), 국지도58호선(무계~삼계) 건설공사 ▲국립 김해숲체원 조성사업 ▲국립 가야역사문화센터 건립 ▲대동공공하수처리구역 오수관로 정비 등이다. 국비사업 이외에도 ▲부울경 특별연합사무소 유치 ▲
부산시가 내년도 국비 목표액을 8조 5천억 원으로 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부산시는 이병진 행정부시장 주재로 ‘2023년 국비 발굴 전략회의’를 열어 실·국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고 23일 밝혔다. 오늘 회의에서는 행정부시장을 비롯하여 부산시 실·국·본부장 등이 참석했으며, 향후 부산의 발전을 견인할 주요 현안과 미래먹거리 사업 발굴 등은 물론 부산교통공사, 부산테크노파크 등 주요 투자기관 관계자들과도 국비확보 전략과 대응방안 마련에 머리를 맞댔다. 특히, 새 정부 출범과 연계하여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가덕도 신공항 건설 등 부산의 주요 현안을 새 정부 중점 국정과제에 반영하고 국비 확보와 연계시키는 방안에 대한 집중 논의가 이뤄졌다. 시는 내년도 주요 신규 국비 사업으로 ▲북항재개발사업 2단계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물 공급체계 구축 ▲그린스타트업 타운 조성사업 ▲수소연료전지 부품 신뢰성 평가 지원센터 구축 등을 꼽았다. 이병진 행정부시장은 “올해부터 기준금리 인상 및 유동성 축소가 본격화되면서 부동산 거래 감소로 이어져 시의 재정 여건이 녹록지 않은 상황